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재테크💵/🎓Brain🎓4

태조실록으로 본 이성계가문의 조상계보와 분석, 이성계가문과 동북면 북방민족 여진족에 대한 결론-4 3. 『태조 실록』에서의 이성계 가문 위의 표는 『태조 실록』 제 1권 총서를 근거로 이성계 조상들의 계보를 정리한 것이다. 실록을 보면 5대조까지의 기술내용과 4대조부터의 기술 태도가 판이함을 확인 할 수 있다. 5대조인 이양무 때까지는 “이염순이 이승삭을 낳았다”는 식으로 간략히 처리된 반면, 이안사 때부터는 행적이 아주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사공·시중·아간·사도·대장군 같은 벼슬을 한 집안이라면 가문의 역사가 어느 정도는 상세히 기록되는 것이 보통의 일이다. 또한 활동의 형태가 전혀 다르다. 『태조 실록』에서는 이씨를 “전주의 대성(大姓)이라고 했다. 그런 점에서 이성계 가문은 대토지 소유를 바탕으로 한 농경가문이어야 한다. 유목민이 전주의 대토지 소유자일 경우는 없으므로, 이양무때까지는 대토.. 2022. 5. 13.
고려말 이성계의 등장- 이성계의 군사활동과 세력확장, 이성계의 위화도회군과 여진족 이지란-3 2. 이성계 군사활동과 정치적 성장 1) 이성계 군사활동과 세력확장 그렇다면 이성계의 군사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이성계가 신흥 무장세력으로 자리잡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겠다. 이성계는 공민왕 5년(1356) 중앙에 진출하였다. 그가 중앙에 진출 할 수 있었던 것은 개인기량이라기보다, 그의 아버지 이자춘이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는 데 공헌한 바에 힘입음이 컸다. 이성계가 직접 군사를 이끌고 활동하는 기록은 공민왕 10년(1361) 이자춘이 죽고 난 이후에야 확인된다. 이성계의 공식적인 군사활동은 강계만호 박의(朴儀)가 일으킨 반란을 진압하기 위하여 친병 1,500명을 이끌고 출전하면서이다. 이성계의 직함은 금오위상장군(金吾衛上將軍)·동북면상만호(東北面上萬戶)였다(태조실록1 총서 공민왕 10년 9월). 이성.. 2022. 5. 13.
이성계가문의 동북면정착과정, 이성계가문과 동북면 그리고 가별초 -2 이성계 가문과 동북면 이성계의 선조가 동북면에 정착했던 시기는 원(元)이 고려를 침략하기 시작하던 무렵이다. 이성계의 고조부였던 이안사(李安社)가 어떠한 과정으로 동북면에 정착하게 되었으며, 그곳에서 어떠한 세력을 갖게 되었는가는 다음의 기록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1) 목조(이안사)가 그 사실을 듣고 마침내 강릉도 삼척현으로 옮겨 거주하였다. 170여가의 백성들이 따라서 이주하였다. 예전 산성별감이 새로이 안찰사로 부임하려 하였다. 목조는 화가 미칠까 두려워 식속을 이끌고 바다를 건너 동북면 덕원(德源)에 이르렀다. 170여호 백성 역시 목조를 따랐다. 많은 동북면 백성이 목조에게 복종하였다. 이에 고려 정부는 목조를 의주병마사로 삼아 고원에서 원나라 군사를 방어하도록 하였다. 이때 영흥 이북은 개.. 2022. 5. 13.
이성계가문의 조선건국과 북방민족 여진과의 관계, 이성계가문과 고려말 동북면 여진족의 실태 -1 14세기말, 중국에서는 원·명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한반도에서는 고려·조선의 왕조교체가 이루어졌다. 그런 동북아시아의 정세속에서 이성계가문은 동북면에서 기반을 확충하고 세력을 강화시켰다. 이성계 가문은 원나라로부터 천호장 겸 다루가치의 지위를 세습하여, 고려인과 여진인을 지배했고 이들이 이후 조선왕조를 건국하는 기본 무력이 되었다는 것은 당연시되고 있다. 그리고 1388년 5월의 위화도 회군은 북원의 내부사정을 잘 아는 이성계가 그 직전 북원의 기본 무력이 무너졌음을 파악한 데서 나온 14세기말 동아시아 국제정치 상황의 결과물이다. 그런 가운데 이성계 가문의 기반이 주목되어 무력집단인 가별초를 국가의 간섭 없이 개인사병으로 이성계가 통솔하였음이 기존 연구들로 밝혀졌다. 이성계 세력의 군사적 성장배경이.. 2022. 5. 13.
728x90
반응형